안전관리 / / 2025. 5. 12. 14:44

근골격계 질환과 뇌·심혈관질환 예방과 관리

반응형

 

▶ 근골격계 질환의 정의

  • 특정 신체부위 및 근육의 부적절하고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육, 관절, 혈관,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여 목, 어깨, 팔, 손목, 손가락, 허리, 다리 등에 나타나는 만성적인 건강장애
  • 산업안전보건법 정의에 따르면:
    반복적인 동작, 부적절한 작업자세, 무리한 힘의 사용,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,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장해로서 목, 어깨, 허리, 팔다리의 신경,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

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

  • 누적성 및 반복적 외상, 반복적 동작 상해 또는 반복긴장증후군 등
  • 작업 요인에 중점을 둔 정의

▶ 발생 원인


근골격계 질환의 특징 및 진행

▶ 특징

  •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
  • 근원적 제거가 어려움 → 지속적 관리 필요
  • 근로자의 자기관리 노력 중요

▶ 진행 단계


근골격계 질환의 종류

▶ 증상 및 원인 예시

▶ 유해요인 조사 4단계


 

 근골격계 질환 관리방안

▶ 인간공학적 개선 유형

  • 공학적: 설비/공정 개선, 유해요인 제거
  • 관리적: 작업속도 조절, 순환, 휴식 보장
  • 행동적: 잘못된 작업 습관 교정

▶ 실천 예시

  • 작업대 높이 조절
  • 운반 보조기 활용
  • 의자/부품함 개선
  • 스트레칭 실시 등


 뇌·심혈관질환의 이해

▶ 정의

  • 뇌혈관질환 + 심혈관질환
  • 대표 질환: 심근경색증, 뇌졸중(뇌경색, 뇌출혈), 대동맥류 등

▶ 원인


 뇌·심혈관질환 종류

▶ 뇌혈관질환

  • 허혈성(뇌경색): 혈전으로 혈관 막힘
  • 출혈성(뇌출혈): 고혈압 등으로 혈관 터짐

▶ 심혈관질환

  • 협심증: 관상동맥 협착 → 가슴통증
  • 심근경색증: 혈관 완전 막힘 → 괴사


뇌·심혈관질환 예방 수칙

▶ 사업장 관리방안

  1. 연간 계획 수립
  2. 건강검진 전원 실시
  3. 전직원 예방교육
  4. 고위험 작업 건의
  5.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
  6. 위험도 평가 및 사후관리
  7. 위험군 DB화
  8. 지역사회 자원 연계
  9. 근로자 참여 유도

▶ 개인 실천 사항

  • 금연
  • 절주 (소주 7잔 이상 고위험)
  • 저염식
  • 채소 섭취
  • 콜레스테롤 관리
  • 운동과 체중조절

경고 증상 정리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