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전관리 / / 2024. 8. 13. 08:38

비상 대응 및 응급처치

반응형

 

 

■ 공정안전관리(PSM) 12대 실천과제

• 공정안전관리(PSM) : 화재, 폭발, 유독물 누출 등 중대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예방대책 수립을 위해 근로자의 안전확보와 기업의 손실 방지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공정안전관리 시스템

 

• 공정안전관리 12대 실천과제

① 공정안전자료 : 공정안전자료의 주기적인 보안 및 체계적 관리

② 위험성 평가 : 공정위험평가 체제 구축 및 사후관리

③ 안전운전 절차 준수 : 안전운전절차 보완 및 준수

④ 설비별 점검 기록, 유지 관리 : 설비별 위험등급에 따른 효율적 관리

⑤ 안전작업 허가서 : 작업허가절차 준수

⑥ 협력업체 운영 관리 : 협력업체 선정 시 안전관리 수준 반영

⑦ 근로자 교육(PMS등) 계획 : 근로자(임직원)에 대한 실질적인 PMS교육

⑧ 가동 전 안전점검 : 유해·위험설비의 가동(시운전) 전 안전점검

⑨ 변경관리 절차 준수 : 설비 등 변경시 변경관리절차 준수

⑩ 자체감사 실시 : 객관적인 자체검사 실시 및 사후조치

⑪ 사고원인 및 재발방지대책 : 정확한 사고원인규명 및 재발방지

⑫ 비상대응 훈련 : 비상대응 시나리오 작성 및 주기적인 훈련

■ 비상조치계획 4단계 순환모델

 ■ Layers of Protection Analysis(LOPA)

• 화학공장의 다중방호예방대책(LOPA)

- 일반적으로 화학공정에는 원하지 않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호계층을 설치함

- 합리적, 목표지향적, 위험기반 접근을 이용한 주요질문에 답변하기 위하여 사용됨

- 사고예방을 위한 방호계층을 얼마나 두어야 하는가, 이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사고예방에 대처해야 하는가 → 위험성평가를 통한 위험도의 허용가능여부를 비교 판단하여 결정함

 

• LOPA의 기본 목적

- 결과(위험)를 허용할 수 있는가 결정하기 위함

- 충분한 방호계층(IPL)을 가지고 있는가를 판단하기 위함

- 추가 방호계층(IPL)을 권고하기 위함 - 어떤 방호계층이 얼마나 필요한가를 알기 위함

 

• LOPA의 주요 쟁점사항 : 수행 목적

- 어떻게 하면 안전이 충분히 확보되는가

- 얼마나 많은 방호계층이 필요한가

- 각각의 방호계층은 얼마나 많은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는가

- 각각의 방호계층의 효용성 및 독립성을 평가

 

• LOPA 결과의 특징

- 반 정량적 결과에 따른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답변 제시

- 위험의 수용가능성에 대한 의사결정 기준 제시

- 명확성과 일관성 제공 - 플랜트 관련자 등에 대한 이해 촉진

 

• LOPA(방호계층분석)의 정의

- 원하지 않는 사고의 빈도나 강도를 감소시키는 독립방호계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절차로 반정량적 위험성평가 기법

- CCPS(미국 화학공정안전센터)에서는 정성적 위험성 평가에 도출된 시나리오 중 심각도가 큰 10~20% 정도의 시나리오에 대해 정량적 위험성 평가 전 LOPA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음

 

• LOPA의 핵심

- 어떤 시나리오에 대해 독립방호계층(IPL : Independent protection layer)을 찾아내는 것

- IPL : 초기사고나 사고 시나리오와 관련한 다른 어떤 방호계층의 작동과는 관계없이 원하지 않는 결과로 진행치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 또는 조치

- IPL은 독립적이고 효과적이며 확인가능성을 가져야 함

■ LOPA의 수행흐름도

• 1단계. 시나리오 선정 : 사고영향의 확인 및 시나리오 선정

• 2단계. 초기사고의 파악 : 초기사고 피해파악 및 목표수준 선정

• 3단계. 사고발생확률 산정 : 초기사고(원인) 및 보조사고

• 4단계. IPL 파악 : IPL선정, IPL의 고장률 파악

• 5단계. 위험도 산출 : 사고발생확률 × IPL고장률

• 6단계. 위험도 평가 : 허용가능여부 판정, 안전대책 수립

■ LOPA의 단계별 수행 절차

• 예방 → 준비 → 대응 → 복구의 순환모델에 따른 단계별 수행 절차

 

① 예방(PREVENTION) : 공정의 위험성 파악과 사고 완화 대책의 수립

- 예방의 원리 : 공정위험의 인식, 본질적 안전한 공장, 공정설계 변경

- 완화의 원리 : 공장배치/여유분(Passive), 저장시설과 조업시설의 분리, 누출완화의 원리, 누출 후 완화시스템, 화재/폭발 완화의 원리

 

② 준비(Preparation) : 비상조치계획 수립을 위한 사고 확인, 사고 시나리오의 평가 및 선정

- 주요 내용 : Credible Incidents의 정의, 비상조치계획을 위한 Credible Incident 확인 기술, 정량적 평가가 필요한 사고의 우선 순위화, 정량적 평가에 따른 피해크기 계산, 비상조치계획 수립용 사고 시나리오의 선정, 완화 시스템의 재검토

 

③ 대응(Response) : 사고에 대한 명령체계 및 대응전략 수립, 비상대응시스템 및 설비의 검토

- 주요 내용 : 비상조치계획 수립 절차, 비상조치계획의 정의, 관련 법규, 비상시 행동요령 수립, 비상조치계획 수립, 비상대응 설비

- 비상조치계획의 목적 : 인적 · 물적 피해 최소화 → 종업원 안전확보, 설비손실 최소화, 생산기회 손실 최소화, 공중 협력체계화, 인근주민 안전확보

- 비상 시 행동요령 수립 : 비상시 대피절차 및 대피경로 확보, 대피 전 주요공정에 대한 비상운전 절차 및 운전책임자 확인, 비상대응 관련 임무 책임 및 권한 확인, 대피 후 인원파악 및 대피자 행동지침 확인, 비상사태에 대한 신고/보고 수단 확인, 구조/구급에 관한 절차 확인

- 비상조치계획 수립 : 비상 사태의 구분, 비상대응절차 체계, 비상대응 조직, 비상대응 FLOW, 비상 관련 작업표준, 비상대응 훈련, 비상시 연락체계

 

④ 복구(Recovery) : 사고 후의 빠른 대책 수립, 설비의 안전성 확보, 비상대응 시스템 복구

- 주요 내용 : 관리 복구, 현장 보안, 근로자 지원, 손실 평가,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, 사고 조사, 안전 및 비상 시스템 복구, 법, 보험, 공공 정보 등의 사항에 맞게 복구

 

 

 

■ 응급처치의 정의 응급처치

•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, 뜻하지 않은 사고 발생 시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기 전까지 적절한 처치와 보호를 통해 고통을 덜어주고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

• 응급환자의 생명 구조

• 통증 감소 및 악화 방지

•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회복을 도움

• 장애의 정도 경감

■ 응급처치의 목적

• STEP 1. 현장조사 Check

- 현장의 안전 상태와 위험요소 파악

- 구조자 자신의 안전 여부 확인

- 사고 상황과 부상자의 수 파악

- 도움을 줄 수 있는 주변 인력 파악

- 환자의 상태 확인

 

• STEP 2. 구조요청 Call

- 현장조사와 동시에 응급구조체계에 신고

- 의식이 없는 경우 즉시 119에 구조 요청하고, 자동제세동기 요청

 

• STEP 3. 환자 상태 파악과 기본 처치

- 재해자가 다수일 경우 우선순위에 의해 구조

- 1차 조사 : 순환, 기도 유지, 호흡 파악

- 2차 조사 : 1차 조사에서 생명 유지와 직결되는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골절, 외상, 변형 여부 등과 같은 전반적인 상태 평가 실시

 

• STEP 4. 환자의 안정

- 의식이 없는 경우 : 즉시 구조 요청 및 심폐소생술 시행

- 위험한 환경인 경우 : 즉시 안전한 위치로 환자 이송

- 의식이 있는 경우 : 따뜻한 음료를 조금씩 공급해 체온 회복을 도움

■ 응급처치 방법 구조, 구급 및 응급처치

• 안전을 먼저 생각하고 환자에게 자신이 응급처치자임을 알림

• 원칙적으로 의료기구나 의약품 사용 금지

• 빠른 시간 내에 전문 응급의료진에게 인계

• 응급환자에 대한 생사 판정 금지

 

 

■ 심폐소생술

•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처치법

• 심장 마비 상태에서도 혈액 순환을 시켜 뇌 손상 지연

• 심장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에 도움을 줌

■ 심폐소생술

• STEP 1. 심정지 확인

- 환자의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, 큰 목소리로 환자의 의식 상태 확인

- 환자의 몸 움직임, 눈 깜박임, 대답 등 반응 확인하며 호흡 여부와 상태 관찰

- 반응이 없더라도 움직임이 있거나 호흡을 하면 심정지 상태가 아님

 

• STEP 2. 119 신고 및 제세동기 요청

- 환자의 반응이 없으면 즉시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도움과 자동제세동기 요청

- 주변 사람에게 119에 신고 요청 시, 정확하고 단호하게 함

- 주위에 아무도 없을 경우 즉시 스스로 119에 신고

 

• STEP 3. 가슴 압박 실시 (30회)

- 환자의 가슴 중앙에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댐(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)

- 양팔을 쭉 편 상태에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 압박

- 성인 기준, 가슴 압박은 분당 100~120회 속도로 / 가슴이 5~6㎝ 깊이로 눌릴 정도로 강하고 빠르게

- 가슴 압박 시 ‘하나, 둘, 셋…’ 소리를 내면서 시행하고,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된 후 다시 압박

 

• STEP 4. 인공호흡 시행

-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올려서 환자의 기도 개방

-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 코를 막고, 입을 벌려 완전히 막은 뒤에 1초 동안 숨을 불어넣음

- 숨을 불어넣은 후 입을 떼고 코를 놓아주어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

 

• STEP 5.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

- 가슴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를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 실시

- 도와줄 사람이 있다면 한 사람은 가슴 압박, 다른 한 사람은 인공호흡을 맡아서 시행

-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일 경우, 환자 호흡이 회복되었는지 확인 →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함

■ 자동심장충격기(AED :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)

• 심실세동 즉 심장이 가늘게 떨면서 죽어가는 형태의 부정맥이 온 경우 환자의 가슴에 전기패드를 부착해 일정량의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심장의 리듬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장비

• 정상적인 반응과 호흡이 없는 심정지 환자에게만 사용

• 심폐소생술 중 자동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심폐소생술을 멈추지 말고 지체 없이 사용

■ 자동심장충격기(AED) 사용 순서

① 전원 켜기

- 자동심장충격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뒤에 전원 버튼을 누름

 

② 두 개의 패드 부착

- 패드 한 장은 오른쪽 빗장뼈 바로 아래, 다른 한 장은 왼쪽 젖꼭지 옆 겨드랑이에 부착

- 패드 부착 부위의 이물질 제거

- 패드와 제세동기 본체 연결

 

③ 심장리듬 분석

- 기계에서 “분석 중” 음성 지시가 나오면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뗌

- 제세동이 필요한 경우 “제세동이 필요합니다.” 음성 지시와 함께 자동제세동기 스스로 설정된 에너지로 충전 시작 ④ AED 충전 중 가슴압박 시행

 

④ A ED는 충전 시 수초 이상이 소요되므로 충전되는 동안 가슴압박 시행

- 제세동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계속 시행

 

⑤ 제세동 시행

- 제세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제세동 버튼이 깜빡거림

- 깜빡이는 제세동 버튼을 눌러 제세동 시행

- 제세동 버튼을 누르기 전, 반드시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 재확인

 

⑥ 즉시 심폐소생술 다시 시행

- 제세동 실시 후, 즉시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 비율을 30:2로 해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

- AED는 2분마다 심장리듬 분석을 반복해서 시행

-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지속

 

 

■ 기도 폐쇄 시 응급처치 각종 사고 시 구급법

• 기도폐쇄 여부 확인 : 환자의 기침소리, 청색증, 말하거나 숨쉬기 힘든 호흡곤란, 목 움켜잡음 등의 증상을 보임

• 환자에게 목에 뭐가 걸렸는지 묻고, 환자가 말을 하지 못하고 고개를 끄덕인다면 심각한 상태의 기도폐쇄라고 판단하고 즉각적인 응급처치 실시

 

• 환자의 상태 확인 결과

- 가벼운 기도폐쇄 증상 및 강한 기침 : 자발적인 기침과 숨을 쉬기 위한 노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

- 심각한 기도폐쇄 증상을 보이는 성인 및 1세 이하 영아 : 즉시 119에 연락 후 기도폐쇄 징후가 없어지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기 전까지 복부 밀치기 반복

 

<복부 밀치기 방법>

- 목에 뭐가 걸렸는지 물어보고 확인

- 환자의 뒤쪽에서 복부 밀치기 시행

- 의식을 잃은 경우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입안에 이물질이 보이는 경우 제거

 

• 임신, 비만 등으로 복부를 감싸 안을 수 없는 경우 가슴 밀치기 처치법 사용

• 혼자 있을 때 기도 폐쇄 증세가 나타날 경우, 의자 등받이에 배꼽과 명치 사이를 대고 위쪽 방향 으로 수 차례 압박을 가함

■ 골절 환자 부목 사용법

• 부목 소재는 가볍고 단단한 것 선택

• 부목 너비는 고정할 신체 부위만큼 넓어야 함

• 부목 종류와 무관하게 골절된 뼈의 양쪽 관절이 포함되는 이상으로 길어야 함

• 피부가 상하거나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부목과 신체 사이에 솜, 헝겊 등을 고임

• 팔, 다리에 변형이 있는 경우 조심스럽게 잡아당겨 원위치로 돌려놓음

• 잡아당겼을 때 심한 통증 호소 시, 중단하고 그 상태로 고정

• 부목고정 후 손끝, 발끝을 노출시켜 최소 30분에 한 번씩은 관찰하여 대응

■ 기타 외상 시 구급법

■ 화상사고 시 구급법

• 응급처치 방법

 

① 즉시 화상 부위를 찬물로 식힘 - 화상 부위를 제외한 부위 보온

- 냉찜질은 화상면 확대 및 수포 발생 방지, 염증 억제, 통증 경감

- 화상 위의 의류는 벗기지 말고 그 위로 물을 끼얹어 냉각시킨 후 벗기기 힘들면 가위로 자름

- 1도 화상인 경우는 바셀린 거즈나 윤활유를 바름

 

② 화상으로 생긴 수포는 터뜨리지 않음

- 환부가 넓으면 충분히 냉각만 시킨 상태로 의사에게 의뢰

- 의식이 있으면 찬 소금물을 주고 쇼크, 감염, 탈수 예방에 노력

- 이송 도중 호흡 유지 및 쇼크 방지 조치를 할 수 있는 전문차량을 이용하여 화상 치료가 가능한 큰 병원으로 후송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